정신과질환 치료장벽 낮추고 치매 예방까지…국내 디지털치료제 연구개발 한창
본문
국내 벤처 기업들이 우울증, 치매, 심장질환 등의 치료 접근성을 대폭 확대하는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한창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19일 메디팜소프트 등 유망한 5개 디지털헬스케어 창업기업을 선정, 2021년 제4회 K-BIC STAR DAY 온라인투자설명회를 열어 연구개발(R&D)과 상용화 계획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메디팜소프트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심전도 검사 분석과 심장질환(부정맥) 판독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카디아이(Cardial)을 소개했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사용자 스스로 심전도를 측정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제품이다.
전재후 대표는 "심장병 사망률이 매우 높은데, 심전도 검사와 판독은 담당 전문의가 있어야 하며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해당 기계의 유지도 어려워 접근성이 떨어진다"면서 "동네 병의원이나 보건소, 요양병원, 가정 등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판독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다른 측정기기와 달리 메디팜소프트가 개발한 제품은 파형분석, 앙상블모델, 가중치 통합 알고리즘 등을 추가해 분석 정확도를 높였다. 실제 임상시험 결과 해당 기기의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 등이 94%로 나타났다.
전 대표는 "심전도 PQRST파의 간격, 진폭, 형태에 따라 심장질환을 구분하며, 분석 알고리즘은 대부분 파형전송, 노이즈제거, 각종 전처리, 이미지분석 등으로 구성돼 있다"면서 "자사 제품은 여기에 파형분석, 앙상블모델, 가중치 통합 알고리즘 등을 추가해 차별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해당 휴대용 심장질환 측정기는 CE인증을 받았으며, 원격모니터링과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탑재돼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3등급을 받았다"면서 "수익 모델은 디바이스 판매와 월 사용료 등으로, 내년 40억원에 이어 오는 2024년 300억원대 매출을 올려 IPO까지 추진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이를 위해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마케팅을 추진 중이며, 의료인력이나 시설이 부족한 인도네시아, 케냐, 탄자니아, 이스라엘, 우간다, 르완다 등과 파트너 계약을 완료했고 베트남, 필리핀 등과는 계약을 협의 중인 단계다.
...
출처 메디게이트뉴스(http://www.medigatenews.com/news/2257353082)